반응형
들어가기전 Sass와 Scss의 차이를 알아보자.
Sass와 Scss는 Nesting구조를 가지고 있지만,
Sass는 indent(들여쓰기)로 구분하기 때문에 tab사용에 예민하니 주의해야 한다.
Scss는 브라켓 {} 으로 구분한다.
Variables
$를 붙여 변수를 만들 수 있다.
$작명: 값; 형태로 사용한다.
변수를 사용해서 일관된 스타일을 부여해주고 수정시 값만 변경해주면 된다.
@mixin
@mixin명령어를 이용해서 스타일 집합을 만들어내고 @include를 통해 불러올 수 있다.
또한 함수처럼 default parameter를 지정 할 수 있고 parameter를 받아 상속을 부여할 수도 있다.
@function
@function명령어는 말 그대로 함수처럼 사용할 수 있다.
@return을 통해 결과값을 보내줄 수 있다.
@extend
@extend는 css속성 집합을 상속 받을 수 있다.
@use
작업량이 많아 지면, 많은 sass파일이 생긴다.
이러한 많은 파일들을 @use명령어를 이용해 분할하고 모듈화 시킬 수 있다.
🤔 mixin과 extend의 차이
선택자간의 연관성이 존재한다면 @extend,
연관성은 없지만 코드가 겹치는 부분이라면 @mixin으로 소스코드의 중복을 없애기 위해 사용한다.
반응형
'CS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속성 선택자 (Attribute selector) (0) | 2023.03.02 |
---|---|
position (0) | 2023.02.14 |
Box Model (0) | 2023.02.14 |
CSS 반응형 단위 (0) | 2023.02.13 |
댓글